카테고리 없음

데이터 분석과 통계 6

jojoon2786 2024. 8. 7. 19:38

가설검정의 주의

1. 재현 가능성

재현 가능성이란 ?

  • 동일한 연구나 실험을 반복했을 때, 일관된 결과가 나오는지 여부.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임.
  • 최근 p값에 대한 논쟁이 두드러지고 있다.
    • p값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유의수준을 0.05에서 변경하는 것이 좋다
  • 가설검정 원리상의 문제나 가설검정의 잘못된 사용이 낮은 재현성으로 이어진다는 문제가 발생

중요성

  • 결과가 재현되지 않는다면 해당 가설의 신뢰도가 떨어진다.

원인

  • 완전 동일한 조건으로 똑같은 실험을 수행하는 것이 쉽지 않음.
  • 또한 가설검정 자체도 100% 검정력을 가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오차가 나타날 수 있다.

가설검정 사용방법에 있어서 잘못됨

  • p값이 0.05가 유도되게끔 조작하는 것이 가능(p해킹)
  • 실제로는 통계적으로 아무 의미가 없음에도 의미가 있다고 해버리는 1종 오류를 저지를 수 있음.
  • 0.05라는 것은 100번 중 5번 귀무가설이 옳음에도 불구하고 기각될 수 있음.
  • 유의수준으로 통제하는 것이 중요함.
  • 하지만, 유의수준을 너무 낮추면 베타값이 커져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따라서 어떤 논문에서는 유의수준을 0.005로 설정하면서 데이터 수를 70% 더 늘려서 베타 값도 컨트롤 하는 방향을 제안.잘못된 가설을 세우더라도 우연히 0.05보다 낮아서 가설이 맞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음. 따라서 가능한 좋은 가설을 세우는 것도 중요함

 

2. p-해킹

p-해킹이란 ?

  • 데이터 분석을 반복하여 p-값을 인위적으로 낮추는 행위
  • 유의미한 결과를 얻기 위해 다양한 변수를 시도하거나, 데이터를 계속해서 분석하는 등의 방법을 포함.

문제점

  • p-해킹은 데이터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저하시킴.

언제 조심해야 하는가 ?

  • 여러 가설 검정을 시도하여 유의미한 p-값을 얻을 때까지 반복 분석하는 것을 조심.
  • p-해킹은 유의한 결과를 얻기 위해 p-값이 0.05 이하인 결과만 선택적으로 보고하는 행위를 조심.
  • 데이터의 수를 늘리다보니 특정 데이터 수를 기록할 때 잠깐 p값이 0.05 이하를 기록함으로 이를 바탕으로 대립가설 채택하는 것을 조심.
  • 즉, 결과를 보며 데이터 개수를 늘려서는 안됨.
  • 다양한 상황 중에서 p값이 유리하게 나오는 상황만 선별적으로 보고하는 것을 조심
  • 다양한 변수를 건드리며 유리한 결과가 나올 때 다시 처음부터 가설을 그 결과에 맞게 세우는 것

, 마음에 드는 상황만 골라서 보고해서도 안됨. 모든 결과를 다 보고하거나 더 엄격한 추가실험을 수행

가능한 가설을 미리 세우고 검증하는 가설검증형 방식으로 분석을 해야하며 만약 탐색적으로 분석한 경우 가능한 모든 변수를 보고하고 본페로니 보정과 같은 방법을 사용해야 함.

 

3. 선택적 보고

선택적 보고란 ?

  • 유의미한 결과만을 보고하고,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는 보고하지 않는 행위
  • 데이터 분석의 결과를 왜곡하고, 신뢰성을 저하시킴.

예시

노란색 결과를 얻었지만, 음수 값을 제외한 양수 값만 보고하는 예시

 

선택적 보고는 언제 조심해야 하는가 ?

  • 유의미한 결과만 공개할 때
  •  --> 다수의 데이터 분석 중 유의미한 결과가 나온 실험만을 보고서에 작성하여 발표
  • 결과를 보면서 가설을 다시 새로 설정했는데 마치 처음부터 설정한 가설이라고 얘기할 때
  •  --> 미리 가설과 실험 방법등에 대해서 설정을 한다음 연구를 수행하거나 연구하는 동안 얻어진 모든 변수와 결과에 대해서 공개하지 못할 때

4. 자료수집 중단 시점 결정

" 원하는 결과가 나올 때 까지 자료를 수집하는 것을 조심! "

 

자료수집 중단 시점 결정

  • 데이터 수집을 시작하기 전에 언제 수집을 중단할지 명확하게 결정하지 않으면, 원하는 결과가 나올 때까지 데이터를 계속 수집할 수 있음. 이는 결과의 신뢰성을 떨어뜨림.
  •  

예시

  • 샘플 크기에 따른 평균값과 95% 신뢰구간을 나타낸 그래프
  • 데이터 수집을 언제 멈출지 결정하는 것은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이상적으로는 사전에 정해진 계획에 따라야 함.

자료수집 중단 시점은 언제 조심해야 하는가 ?

  1. 결과를 이미 정해놓고 그에 맞추기 위해 자료수집을 하고자 할 때

       --> 50명의 데이터를 수집하기로 했으나,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지 100명까지 추가로 수집

 

# 데이터 수집 예시
np.random.seed(42)
data = np.random.normal(0, 1, 1000)
sample_sizes = [10, 20, 30, 40, 50, 100, 200, 300, 400, 500]
p_values = []

for size in sample_sizes:
    sample = np.random.choice(data, size)
    _, p_value = stats.ttest_1samp(sample, 0)
    p_values.append(p_value)

# p-값 시각화
plt.plot(sample_sizes, p_values, marker='o')
plt.axhline(y=0.05, color='red', linestyle='dashed', linewidth=1)
plt.title('자료수집 중단 시점에 따른 p-값 변화')
plt.xlabel('샘플 크기')
plt.ylabel('p-값')
plt.show()

 

5. 데이터 탐색과 검증 분리

데이터 탐색과 검증 분리란 ?

  • 데이터 탐색을 통해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별도의 독립된 데이터셋을 사용하는 것
  • 이는 데이터 과적합을 방지하고 결과의 신뢰성을 높임

  • 탐색 데이터와 검증 데이터를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냄.
  • 데이터 탐색과 검증을 분리하면 탐색 과정에서 발견된 패턴이 검증 데이터에서도 유효한지 확인 가능
  • 검증 데이터는 철저하게 탐색 데이터와 구분되어져야 함.

데이터 탐색과 검증 분리는 언제 사용해야하는가 ?

-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가 따로 필요할 때

---> 데이터셋을 탐색용(training)과 검증용(test)으로 분리하여 사용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 데이터 생성
np.random.seed(42)
X = 2 * np.random.rand(100, 1)
y = 4 + 3 * X + np.random.randn(100, 1)

# 데이터 분할 (탐색용 80%, 검증용 20%)
X_train, X_test, y_train, y_test = train_test_split(X, y, test_size=0.2, random_state=42)

# 모델 학습
model = LinearRegression()
model.fit(X_train, y_train)

# 탐색용 데이터로 예측
y_train_pred = model.predict(X_train)

# 검증용 데이터로 예측
y_test_pred = model.predict(X_test)

# 탐색용 데이터 평가
train_mse = mean_squared_error(y_train, y_train_pred)
train_r2 = r2_score(y_train, y_train_pred)
print(f"탐색용 데이터 - MSE: {train_mse}, R2: {train_r2}")

# 검증용 데이터 평가
test_mse = mean_squared_error(y_test, y_test_pred)
test_r2 = r2_score(y_test, y_test_pred)
print(f"검증용 데이터 - MSE: {test_mse}, R2: {test_r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