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데이터 분석과 통계 4

jojoon2786 2024. 8. 6. 17:41

1. 단순선형회귀

단순선형회귀란 ?

  • 하나의 독립 변수(X)와 하나의 종속 변수(Y) 간의 관계를 직선으로 모델링하는 방법

단순선형회귀

회귀식

  • Y = β0 + β1X, 여기서 β0는 절편, β1는 기울기

특징

  • 독립 변수의 변화에 따라 종속 변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설명하고 예측한다.
  • 데이터가 직선적 경향을 따를 때 사용함.
  • 간단하고 해석이 용이하다.
  • 데이터가 선형적이지 않을 경우 적합하지 않다.

단순선형회귀는 어떨 때 사용하는가 ?

- 하나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계를 분석 및 예측할 때

  1. 광고비(X)와 매출(Y) 간의 관계를 분석할 때
  2. 현재의 광고비를 바탕으로 예상되는 매출을 예측 가능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from sklearn.linear_model import LinearRegression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from sklearn.metrics import mean_squared_error, r2_score

# 예시 데이터 생성
np.random.seed(0)
X = 2 * np.random.rand(100, 1)
y = 4 + 3 * X + np.random.randn(100, 1)

# 데이터 분할 X_train, X_test, y_train, y_test = train_test_split(X, y, test_size=0.2, random_state=42)

# 단순선형회귀 모델 생성 및 훈련
model = LinearRegression()
model.fit(X_train, y_train)

# 예측
y_pred = model.predict(X_test)

# 회귀 계수 및 절편 출력
print("회귀 계수:", model.coef_)
print("절편:", model.intercept_)

# 모델 평가
mse = mean_squared_error(y_test, y_pred)
r2 = r2_score(y_test, y_pred)
print("평균 제곱 오차(MSE):", mse)
print("결정 계수(R2):", r2)

# 시각화
plt.scatter(X, y, color='blue')
plt.plot(X_test, y_pred, color='red', linewidth=2)
plt.title('linear regeression')
plt.xlabel('X : cost')
plt.ylabel('Y : sales')
plt.show()

 

2. 다중선형회귀

다중선형회귀란 ?

  • 두 개 이상의 독립 변수 (X1, X2, ..., Xn)와 하나의 종속 변수(Y) 간의 관계를 모델링

다중선형회귀

회귀식

  • Y = β0 + β1X1 + β2X2 + ... + βnXn

특징

  • 여러 독립 변수의 변화를 고려하여 종속 변수를 설명하고 예측한다.
  •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독립변수가 있을 때 사용한다.
  • 여러 변수의 영향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
  • 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

  • 회귀분석에서 독립 변수들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 이는 회귀분석 모델의 성능과 해석에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독립 변수들이 서로 강하게 상관되어 있으면, 각 변수의 개별적인 효과를 분리해내기 어려워져 회귀의 해석을 어렵게 만듭니다.
    • 다중공선성으로 인해 실제로 중요한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간섭
  • 진단방법
    •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독립 변수들 간의) 상관계수를 계산하여 상관계수가 높은(약 0.7) 변수들이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다.
    • 더 정확한 방법으로는 분산 팽창 계수 (VIF)를 계산하여 VIF값이 10이 높은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다중공선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해결방법
    •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높은 계수를 가진 변수 중 하나를 제거하는 것입니다.
    • 혹은 주성분 분석(PCA)과 같은 변수들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차원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다중선형회귀는 어떨 때 사용하는가 ?

- 두 개 이상의 독립 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계를 분석 및 예측할 때

  1. 다양한 광고비(TV, Radio, Newspaper)와 매출 간의 관계 분석
  2. 현재의 광고비(TV, Radio, Newspaper)를 바탕으로 예상되는 매출을 예측 가능
# 예시 데이터 생성
data = {'TV': np.random.rand(100) * 100,
            'Radio': np.random.rand(100) * 50,
            'Newspaper': np.random.rand(100) * 30,
            'Sales': np.random.rand(100) * 100}
df = pd.DataFrame(data)

# 독립 변수(X)와 종속 변수(Y) 설정
X = df[['TV', 'Radio', 'Newspaper']]
y = df['Sales']

# 데이터 분할
X_train, X_test, y_train, y_test = train_test_split(X, y, test_size=0.2, random_state=42)

# 다중선형회귀 모델 생성 및 훈련
model = LinearRegression()
model.fit(X_train, y_train)

# 예측
y_pred = model.predict(X_test)

# 회귀 계수 및 절편 출력
print("회귀 계수:", model.coef_)
print("절편:", model.intercept_)

# 모델 평가
mse = mean_squared_error(y_test, y_pred)
r2 = r2_score(y_test, y_pred)
print("평균 제곱 오차(MSE):", mse)
print("결정 계수(R2):", r2)

 

3. 범주형 변수

" 회귀에서는 범주형 변수의 경우 특별히 변환을 해주어야 한다"

 

범주형 변수란 ?

  • 수치형 데이터가 아닌 주로 문자형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는 변수가 범주형 변수

범주형 변수 종류

1) 순서가 있는 범주형 변수

- 범주형 변수라도 순서가 있는 변수에 해당

  ex) 기초 프로젝트에서 진행했던 '신용도' 컬럼 생각하면 될듯

 

2) 순서가 없는 범주형 변수

- 성별(남, 여), 지역(부산, 대구, 서울, ...)과 같이 순서가 없는 변수에 해당

   성별과 같이 두 개밖에 없는 경우는 숫자로 변환해도 문제가 없지만, 3개 이상인 경우엔

   > 무조건 원-핫 인코딩(하나만 1이고 나머지는 0인 벡터) 변환을 해주어야 함 -> pandas의 get_dummies를 활용하여 쉽게 구현 가능하다.

   > ex) 부산 = [1,0,0,0], 대전 = [0,1,0,0], 대구 = [0,0,,1,0], 광주 = [0,0,0,1]

 

범주형 변수는 어떻게 사용할까 ?

- 범주형 변수를 찾고 더미 변수로 변환한 후 회귀 분석을 수행

  1. 성별, 근무 경력과 연봉 간의 관계
  2. 성별과 근무 경력이라는 요인변수 중 성별이 범주형 요인변수에 해당
  3. 해당 변수를 더미 변수로 변환
  4. 회귀 수행
# 예시 데이터 생성
data = {'Gender': ['Male', 'Female', 'Female', 'Male', 'Male'],
            'Experience': [5, 7, 10, 3, 8],
            'Salary': [50, 60, 65, 40, 55]}
df = pd.DataFrame(data)

# 범주형 변수 더미 변수로 변환
df = pd.get_dummies(df, drop_first=True)

# 독립 변수(X)와 종속 변수(Y) 설정
X = df[['Experience', 'Gender_Male']]
y = df['Salary']

# 단순선형회귀 모델 생성 및 훈련
model = LinearRegression()
model.fit(X, y)

# 예측
y_pred = model.predict(X)

# 회귀 계수 및 절편 출력
print("회귀 계수:", model.coef_)
print("절편:", model.intercept_)

# 모델 평가
mse = mean_squared_error(y, y_pred)
r2 = r2_score(y, y_pred)
print("평균 제곱 오차(MSE):", mse)
print("결정 계수(R2):", r2)

 

4. 다항회귀, 스플라인 회귀

"데이터가 훨씬 복잡할 때 사용하는 회귀"

 

다항회귀, 스플라인 회귀란 무엇인가 ?

1) 다항회귀

  •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간의 관계가 선형이 아닐 때 사용, 독립 변수의 다항식을 사용하여 종속변수를 예측
  • 데이터가 곡선적 경향을 따를 때 사용함.
  • 비선형 관계를 모델링할 수 있다.
  • 고차 다항식의 경우 과적합(overfitting) 위험이 있음. > 과도한 차수가 나오는 것 정도로 이해

다항회귀

2) 스플라인 회귀

  • 독립 변수의 구간별로 다른 회귀식을 적용하여 복잡한 관계를 모델링
  • 구간마다 다른 다항식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곡선을 생성함.
  • 데이터가 국부적으로 다른 패턴을 보일 때 사용함.
  • 복잡한 비선형 관계를 유연하게 모델링할 수 있음.
  • 적절한 매듭형(knots)의 선택이 중요함.

스플라인 회귀

튜터님의 말씀 : 경향이 보이면 다항회귀를 쓰고, 도저히 차원을 높인다고 해결할 수 없을 것 같은 불규칙한 데이터에는 스플라인 회귀

 

다항회귀는 어떨 때 사용할까 ?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가 비선형 관계일 때 사용

  • 주택 가격 예측 ( 면적과 가격 간의 비선형 관계 )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PolynomialFeatures

# 예시 데이터 생성
np.random.seed(0)
X = 2 - 3 * np.random.normal(0, 1, 100)
y = X - 2 * (X ** 2) + np.random.normal(-3, 3, 100)
X = X[:, np.newaxis]

# 다항 회귀 (2차)
polynomial_features = PolynomialFeatures(degree=2)
X_poly = polynomial_features.fit_transform(X)

model = LinearRegression()
model.fit(X_poly, y)
y_poly_pred = model.predict(X_poly)

# 모델 평가
mse = mean_squared_error(y, y_poly_pred)
r2 = r2_score(y, y_poly_pred)
print("평균 제곱 오차(MSE):", mse)
print("결정 계수(R2):", r2)

# 시각화
plt.scatter(X, y, s=10)
# 정렬된 X 값에 따른 y 값 예측
sorted_zip = sorted(zip(X, y_poly_pred))
X, y_poly_pred = zip(*sorted_zip)
plt.plot(X, y_poly_pred, color='m')
plt.title('polynomial regerssion')
plt.xlabel('area')
plt.ylabel('price')
plt.show()